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마이클 샌델 저 '정의란 무엇인가' (철학적 접근, 적용, 교훈)

by 돕이 2025. 2. 28.

정의란 무엇인가 책 표지

마이클 샌델의 『정의란 무엇인가』는 정의에 대한 다양한 철학적 접근을 탐구하며, 우리가 살아가는 사회에서 정의가 어떻게 실현될 수 있는지를 고민하게 만든다. 공리주의, 자유주의, 공동체주의 등 서로 다른 정의의 개념을 비교하며, 현대 사회의 도덕적 딜레마에 적용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한다. 이 글에서는 『정의란 무엇인가』의 핵심 내용을 정리하고, 우리가 배울 수 있는 중요한 교훈을 살펴본다.

정의란 무엇인가? 다양한 철학적 접근

정의는 단순히 ‘옳고 그름’의 문제가 아니다. 사회에서 자원과 권리를 어떻게 분배할 것인지, 공정성은 어떻게 유지할 것인지에 대한 복잡한 철학적 질문이 포함된다. 마이클 샌델은 정의를 바라보는 세 가지 주요 철학적 관점을 소개한다.

① 공리주의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

공리주의는 제레미 벤담과 존 스튜어트 밀에 의해 발전된 사상으로,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목표로 한다. 공리주의는 결과를 중시하며, 사회 전체의 행복이 극대화되는 선택이 정의로운 결정이라고 본다.

문제점:

  • 다수의 이익을 위해 소수가 희생될 수 있다.
  • 개인의 권리와 자유가 보호받지 못할 위험이 있다.
  • 도덕적 문제를 단순한 계산으로 해결할 수 있을까?

② 자유주의 (개인의 권리와 선택 존중)

자유주의 철학자 존 롤스는 공정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정의의 원칙’을 제안했다. 그는 ‘무지의 베일’이라는 개념을 통해, 사회적 지위와 배경을 모르는 상태에서 정의로운 사회를 설계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핵심 개념:

  • 모든 사람은 평등한 기본권을 가져야 한다.
  • 사회적, 경제적 불평등은 가장 취약한 사람들에게 이익이 될 때만 정당화될 수 있다.

문제점:

  • 개인의 자유를 강조하면서도, 불평등을 완전히 해소하지 못할 수 있다.
  • 현실에서 완벽한 공정성을 구현하기 어렵다.

③ 공동체주의 (사회적 가치와 도덕적 연대 강조)

공동체주의는 정의가 단순히 개인의 권리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 가치와 연대 속에서 결정된다고 본다. 즉, 우리는 개인이기 이전에 공동체의 일원이며, 사회적 맥락 속에서 정의를 고민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문제점:

  • 공동체의 전통과 가치를 강조할 경우, 개인의 자유가 침해될 가능성이 있다.
  • 모든 공동체가 정의로운 가치를 가지고 있다고 단정할 수 없다.

현대 사회의 도덕적 딜레마: 정의는 어떻게 적용되는가?

샌델은 다양한 사례를 들어 우리가 실생활에서 정의를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 고민하게 만든다.

① 도덕적 선택의 문제: 기차 선로 사고 딜레마

A 선로에 5명이 있고, B 선로에 1명이 있다. 당신은 선로를 변경할 수 있다. 선로를 바꾸면 1명이 희생되고, 바꾸지 않으면 5명이 죽는다.

  • 공리주의적 관점에서는 5명을 살리기 위해 선로를 바꾸는 것이 정의롭다.
  • 하지만 공동체주의적 관점에서는 희생을 강요하는 것이 도덕적으로 옳은가에 대한 의문이 생긴다.

② 능력주의와 불평등의 문제

현대 사회는 능력주의를 강조하지만, 모든 사람이 같은 출발선에서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불평등이 발생한다.

  • 롤스의 관점에서는 출발선의 불평등을 해결하기 위한 정책이 필요하다.
  • 하지만 자유주의적 입장에서는 개인의 선택과 책임을 중시해야 한다고 주장할 수 있다.

③ 시장과 도덕성

돈으로 무엇을 살 수 있는가? 장기를 사고파는 것은 허용해야 하는가?

  • 시장이 모든 것을 결정하면 도덕적 가치가 훼손될 위험이 있다.
  • 공동체주의적 시각에서는 시장이 아닌 윤리적 판단이 중요한 문제라고 본다.

우리가 배워야 할 교훈: 정의로운 사회를 만들기 위해

『정의란 무엇인가』에서 마이클 샌델이 강조하는 핵심 메시지는 다음과 같다.

① 정의는 단순한 법과 제도의 문제가 아니다

  • 정의로운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도덕적 가치를 고민해야 한다.
  • 법이 모든 것을 해결할 수 없으며, 시민들이 윤리적 토론에 참여해야 한다.

② 공정성과 도덕적 책임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

  • 단순히 효율성과 자유를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연대와 도덕적 책임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 공정한 사회는 개인의 노력뿐만 아니라, 사회적 구조와 기회의 평등을 보장해야 한다.

③ 우리는 어떤 사회를 만들고 싶은가?

  • 단순히 경제적 성장만이 아니라, 도덕적 가치가 존중되는 사회를 고민해야 한다.
  • 정의로운 사회는 시민들이 적극적으로 토론하고, 함께 만들어가는 과정이 필요하다.

결론

마이클 샌델의 『정의란 무엇인가』는 정의에 대한 철학적 논쟁을 쉽게 풀어내며, 우리가 살아가는 사회에서 정의가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고민하게 만든다. 공리주의, 자유주의, 공동체주의 등 다양한 관점을 비교하면서, 현대 사회의 도덕적 딜레마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핵심 가치를 제시한다.

이 책이 던지는 가장 중요한 질문은 "우리는 어떤 사회를 만들고 싶은가?"이다. 정의는 단순한 법적 개념이 아니라, 우리가 함께 고민하고 만들어가야 할 가치이며, 도덕적 토론과 실천이 필요하다는 점을 깨닫게 해준다.